건축비평론 세미나: 자연 x 건축

2024 Spring Semester 한국예술종합학교미술원 건축과 예술전문사 과정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Department of Architecture / Graduate School Digesting Duck (1764) by Jacques de Vaucanson   강의 요강 syllabus (English below)   건축의 역사는 인류가 자연을 인식하고 관계 맺는 방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거친 ‘자연’에서 보호하기 위해 집을 짓고, 또 풍경으로서의 ‘자연’을 실내로 끌어들이기 위해 창을 만드는 것처럼 건축의 방법과 형태, 기능과 미감은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되고 변화되어 왔다. 그러나 자연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고, 문화적으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역동적인 것이다. 건축에서 자연은 야생의 공간, 도피처이자 영감의 원천으로, 때로는 아름다운 배경으로, 또 20세기에 들어서는 건축이 파괴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건축비평론세미나 1은 자연을 바라보는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여 이를 통해 건축을 읽고 실천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연습을 한다. ‘자연’의 개념은 방대하기에 다섯 가지의 선별적인 주제에 따라 예시적인 접근 방법을 취하며, 각 주제에 해당하는 문학, 자연 과학 등 건축 바깥의 담론과 실제 건축 프로젝트를 횡단하며 읽어나간다. 자연과 도시/건축을 분리된 것으로 바라보는 뿌리 깊은 이원론에서 최근의 포스트 휴머니즘 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연관을 탐색하고 이렇게 학습한 담론내용과 연구기법들을 비판적으로 발전시켜 본인의 이론/개념 틀을 구축해  논문/설계 작업의 바탕이 되는 비판적 태도로 발전시키는 훈련을 하는 수업이다.   The history of architecture is intimately intertwined with how humans perceive and interact with ‘nature’. Much like how houses are built to protect us from the wild ‘nature’ outside and windows are designed to bring elements of ‘nature’ into indoor spaces, architecture has evolved in response to our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However, ‘nature’ is not a fixed concept; it is cultur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meanings of which have changed throughout history. In architecture, ‘nature’ i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s wilderness, a refuge, a source of inspiration, and sometimes as a platform for aesthetic expression, or even as something that architecture may destroy. Seminar on Architectural Criticism 1 explores these diverse perspectives on ‘nature’ as analytical and generative tools for interpreting and practicing architecture. Given the wide-ranging nature of the subject, the course focuses on five selected topics. This approach facilitates a deep dive into each area, enabling a transdisciplinary reading that connects architectural projects with fields such as natural science, social studies, and literature. Through this method, students engage with a variety of viewpoints, from traditional binaries of nature and culture to contemporary post-humanist discourses. The goal is to develop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that students can apply to their research and design projects. Course Reading Anker, P. (2010). From Bauhaus to ecohouse: A history of ecological design.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Colomina, B., & Wigley, M. (2016). Are We Human?: Notes on an Archaeology of Design. Lars Mul̈ler Publishers.Marris, E. (2013). Rambunctious Garden: Saving Nature in a Post-Wild World (Reprint edition). Bloomsbury USA.Harari, Y. N. (2015).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Illustrated edition). Harper.임석재. (2011)임석재의 생태건축. 인물과 사상사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Kallipoliti, L. (2024). Histories of Ecological Design: An Unfinished Cyclopedia. Actar D. Intro: Understanding nature Desimini, J. (2014). Notions of Nature and a Model for Managed Urban Wilds. In P. Barron & M. Mariani (Eds.), Terrain vague: Interstices at the edge of the pale (First edition, pp. 173–186). Routledge.Swyngedouw, E. (1996). The city as a hybrid: On nature, society and cyborg urbanization. Capitalism Nature Socialism, 7(2), 65–80. 1.   Wilderness, Countryside and City The Linear City. (2020). In H. Sarkis, R. S. Barrio, & G. Kozlowski, The World as an Architectural Project (pp. 20–29). The MIT Press.Topophilia and environment. (1990). In Y. Tuan,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Morningside ed, pp. 92–112). Columbia University Press. 2.  Romantic Nature Thoreau, H. D. (1862, June 1). Walking.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magazine/archive/1862/06/walking/304674/Zumthor, P. (2010). Thinking Architecture, 3rd Edition (3rd edition). Birkhäuser Architecture. 3.  Nature as Garden Aureli, P. V., & Giudici, M. (2021). Gardeners’ world: A short history of domestication and nurturance. 12. Architectural Review.From Garden City to Post-Industrial Landscape. (2023). In M. Kries & V. Stappmanns, Garden Futures: Designing with Nature. Vitra Design Museum. 4.  Spaceship earth and the Rise of Environmentalism Taking Ground Control of Spaceship Earth. (2010). In P. Anker, From Bauhaus to ecohouse: A history of ecological design (pp. 96–112).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Escher, C., & Fischer, L. (2022). Ecological Aesthetics and Architectural Autonomy: Oswald Mathias Ungers’s Designs for Solar Housing. In OASE Ecology & Aesthetics. nai010 publishers. 5.  More-than-human Harrison, A. L. (2024). Feral Surfaces. In M. Garcia (Ed.), Posthuman architectures: Theories, designs, technologies and futures (pp. 38–45). John Wiley & Sons.Mostafavi, M., & Leatherbarrow, D. (1993). On Weathering: The Life of Buildings in Time (First Edition). The MIT Press.박은주. (2020). 기계도 행위할 수 있는가? :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을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2(4), 1–26.

‘인간 너머‘ 공존을 위한 포스트휴먼 공간계획의 전략과 방향성 연구

2023 – 진행중펀딩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술교수 B유형 2023 – ongoing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건축, 조경 및 도시계획의 분야에서 생태적 공존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나, 도시와 자연,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적 접근과 인본주의적 특성으로 현재의 전 지구적 생태 위기에 입체적으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자연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 등의 전통적인 구분을 넘어서 자연, 기술, 사물 같은 비인간 존재의 주체성과 상호연관성을 인식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이 환경 파괴와 같은 현대의 전 지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 동식물 등 비인간 존재의 행위성과 능동성을 강조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이른바 인간 너머 (more-than-human) 담론과 공간계획 분야의 초 학제적 연결을 통해, 비인간 종과의 공존을 위한 건축분야의 새로운 실천적 해법을 모색하려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바탕으로 건축 분야의 인본주의적 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인간 너머 건축의 개념 틀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건축, 조경 및 도시계획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차후 공간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기후 변화, 종 다양성 감소 및 인수 공통 감염병과 같은 인간-비인간을 아우르는 전 지구적 위기 상황에 입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존을 위한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려 한다.

부여박물관 외부 석조물 전시공간 설계

2024년 봄 완공 예정 건축주: 국립 부여박물관년도: 2023-2024 (ongoing)사이트: 국립 부여박물관프로그램: 야외 전시장 및 광장 면적: 1,423 m2 (430 평)현황: 착공협업: 황동욱담당: 김선주 Client: Buyeo National MuseumYear: 2023-2024 (ongoing)Location: Buyeo, South KoreaProgram: Outdoor ExhibitionArea: 1,423 sqmStatus: under constructionCollaborator: Dongwook Hwang (Building Lab)Project architect: Seonju Kim

Negotiating Home Alone

2020 – 2021 저자 김선주, 요르그 슈톨만저널명 Home Cultures게재일 2023. 9. 28DOI https://doi.org/10.1080/17406315.2023.2262310펀딩 베를린 대학 연합 (BUA), CRC 1265 공간의 재구성 Authors Seonju Kim and Jörg StollmannJournal Home CulturesPublished Sep 28, 2023DOI https://doi.org/10.1080/17406315.2023.2262310Funded by Berlin University Alliance Special Call for the Pandemic Research, CRC 1265 Re-figuration of Spaces Home Alone: Negotiating Domestic Life by Young Urban Solo Dwellers in Berlin and Seou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ot only isolation but also the expansion of digital social connectivity have led to radical changes in young urban solo dwellers’ everyday life at home in the pandemic. Comparing Berlin and Seoul, we found that contrasting pandemic policies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living alone implied different challenges related to “staying-at-home”. This interview-based study focuses on a period early into the pandemic 2020, and explores experiences of young urban solo dwellers in two cities, with the aim to identify changes in the meaning of home and implications for wider social patterns. Using the spatial figures of territory and network as conceptual basis, we identify contradicting logics in the pandemic policies and modes of domestic life, which posed distinctive challenges for young solo dwellers in each c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renegotiating domestic life by solo dwellers in Berlin has led to compressed digital transition, and to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in Seoul.

실뜨기 정원

    실뜨기 정원   “실뜨기 놀이는 패턴을 주고받고, 실을 떨구고 실패하며 간간히 어떤 모양을 만들고 이전에는 없던 의미 있고 어쩌면 아름다운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며, 문제가 되는 것들을 연결하고 손 위에 손을, 손가락 위에 손가락을, 실이 닿은 부위에 다른 부위를 얹으며 이야기를 전달하여 땅과 대지위에서 유한한 번영의 조건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도나 해러웨이   건물에는 사람만이 아니라 식물도 살고 있다. 비어있던 옥상 한 편에는 돌콩과 쇠뜨기, 강아지풀과 망초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다. 야생콩인 돌콩은 척박한 땅에 누구보다 먼저 자리를 잡고 토양에 질소를 고정해 다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비옥한 흙을 만든다. 두 사람이 실로 형태를 만들어 주고받으며, 상대방이 내민 패턴에서 새로운 형태를 만드는 실뜨기 놀이처럼, 실뜨기 정원은 화단에 자연스럽게 자라난 잡초의 풍경을 이어받아 새로운 식물을 초대하여 정원을 만들어 나간다. 다시 씨앗이 떨어지고, 새로운 잡초도 자라며 정원의 실뜨기는 계속 이어진다.     Gardens of String Figures   “Playing games of string figures is about giving and receiving patterns, dropping threads and failing but sometimes finding something that works, something consequential and maybe even beautiful, that wasn’t there before, of relaying connections that matter, of telling stories in hand upon hand, digit upon digit, attachment site upon attachment site, to craft conditions for finite flourishing on terra, on earth.” Donna Haraway   Buildings serve not only as homes for people but also for plant life. In a forgotten rooftop corner, wild soybean, horsetail, horseweed, and foxtail have taken root. Wild soybeans, in particular, are frequently the first to colonize open, barren ground, enriching the soil by fixing nitrogen, thereby making way for other plants. Similar to the game of cat’s cradle, where players exchange strings to create intricate patterns based on the previous figure, the gardener takes the existing patterns of the spontaneous flora as the base. Over time, as seeds sprout and more weeds flourish, the play of string figures continues.    

소리의 탑

팀 김선주 (건축), 황동욱 (건축), 정세원 (사운드 아티스트)공모전 2023 서울은 미술관 가락시장 정수탑 공공미술 공모전대상지 송파구 양재대로 932 가락시장 정수탑 구조체주최 서울특별시일시 2023. 7. 20 Team Seonju Kim, Dongwook Hwang (Building Lab/architect), and Sewon Jung (sound artist) Competition Seoul Aqua Monument 2023 Location SeoulHos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Date Jul 20, 2023

산의 도시, 식물의 도시

장소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일시 2023. 6. 13 – 8. 13총괄기획 남성택전시기획 김남주, 지강일, 프레드 찬도 김 주최 서울특별시 주택정책식 특별기획과 / 주한 스위스 대사관 주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전시 참여 김남주, 제랄딘 보리오, 안수정, 프레드 찬도 김 Venue Seoul Hall of Architecture and UrbanismDate Jun 13 – Aug 13, 2023Chief Curator Sung-Taeg NamCurator Namjoo Kim, Kangil Ji, Fred Chando KimHos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Embassy of Switzerland in the Republic of KoreaOrganizer Seoul Hall of Architecture and UrbanismWith Namjoo Kim, Geraldin Borio, Susann Ahn, and Fred Chando Kim   (English below)   산의 도시, 식물의 도시 식물을 방법으로 서울 읽기    ‘도시는 인간과 자연, 실제와 허구, 기계와 유기적인 것이 엮여 있는 과정의 네트워크이다…. 도시에서 사회와 자연, 표현과 실제는 분리될 수 없고, 서로에게 필수적이며, 무한히 얽혀 있다.’ 에릭 스윈기도우, ‘하이브리드로서의 도시’ (1996)   식물은 도시에 대해 무엇을 말해 줄 수 있을까? 우리가 물리적 구조와 건축, 혹은 사회적 현상으로 도시를 분석하듯이, 식물은 도시를 읽는 새로운 방법을 알려준다. 북한산의 가장 높은 백운대에서부터 번화한 도심, 그리고 한강 변에 이르기까지 서울에는 다양한 식물이 자라고 있다. 이러한 식물은 도시와 산, 사람과 자연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언제나 흐름과 상호작용 속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북한산에 흔한 리기다소나무와 아까시나무는 벌채로 인해 민둥산이 된 산을 녹화하려는 적극적인 식재의 결과이다. 산이 단지 순수한 자연의 영역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관리하고 이용해 온 사람의 영토이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서울 어디라도 길가와 틈새에 저절로 무성하게 자라나는 질경이와 명아주 같은 자생식물은 도시에도 건재하는 야생을 드러낸다. 식물의 관점에서 보면, 산과 도시, 자연과 인공, 인간과 비인간 존재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그러니 산이라는 지형적, 생태적 조건과 그 안의 다양한 동물과 식물은 사람과 함께 서울 구석구석에서 도시의 역사, 문화, 건축과 공간을 만들어 온 협력자이기도 하다. 사람 활동의 흔적이 지층에 남는다는 인류세의 시대, 사람의 영향이 도시의 경계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행성적 도시화의 논의 속에 우리는 저 밖이 아닌 우리 곁에서, 언제나 변화하며 언제도 결코 ‘순수’하지 않은 자연을 날마다 마주하고 있다.     The Urban Nature of a Mountain City Deciphering Seoul through its Plantlife   ‘[A] city is a network of processes that intertwine the human and the natural, the real and the fictional, the mechanical and the organic. […] In the city, society and nature, representation and reality, are inseparable, essential to each other, and infinitely intertwined.’ Swyngedouw 1996:66   What do plants tell us about a city? In much the same way as we scrutinize a city through its urban fabric, architecture, and sociological phenomena, plants can provide an alternative way of reading the city. From the highest peak of Bukhansan to the bustling city center to its riverside parks, Seoul is teeming with diverse plant life. This suggests to us that Seoul is a city that is in constant flux, continually forging new connections between the urban and the natural. The prevalence of the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and the black locust tree (Robinia pseudoacacia) in the mountains of Seoul is the result of a dynamic programme of afforestation, revealing that the mountains are not pure natural space devoid of human intervention, but an intensely managed territory. On the other hand, plants like goosefoot (Chenopodium album L.) and mugwort (Artemisia indica Willd.) spontaneously grow and thrive even in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exemplifying the presence of nature and wildness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From a plants’ perspective, assumed binaries such as the mountain and the city, nature and the man-made, the human and non-human are all dwindling in relevance as every corner of our urban landscape reveals that these relationships are more intimate and intertwined. In this way, the mountains, with their unique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conditions along with the diverse flora and fauna have long been our collaborators in creating and shaping the history, culture, and architecture of the city. In today’s world of planetary urbanization, the influence of human activity leaves no outside, even imprinting itself in the earth’s strata. Nevertheless, we encounter the richness of nature in our everyday environment– a nature that is forever changing yet never truly ‘pure.’      

다종생물 서식지 워크샵

hosted by studio synurban as a part of Seoul Studio in Monash Architecture led by Prof. Haewon Shin 건축가는 어떻게 ‘인간 너머’의 존재들과 협력할 수 있을까? 비인간 존재의 시선에서 도시는 어떤 공간일까? 건축의 기저에 깔린 인간중심적 시각에 의문을 제기해보자. River lies at the intersection of infrastructure and nature, contrasting the controlling forces of human engineering with the constant flow of water and natural forces. While being heavily designed and utilized by humans, the urban river landscape is also inhabited and altered by a diverse range of non-human actors, including spontaneously growing plants, animals, fish, water and soil, which contribute to the complexity and dynamism of the site. But what kind of place is the urban river for such human and more-than-human actors, and how do they interact with the built environment? In this workshop, we will broaden the subject of spatial anaysis to non-human actor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observing and documenting the movement, accessibility, and use of urba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non-human actors. Our goal is to better understand the inherent ecological value and diversities of the site, in order to work with the utmost respect for what already exists and to think about habitation in terms of coexistence of multi-species.

Fabricating Smart Cities

Author Dominik Bartmanski, Seonju Kim, Martina Löw, Timothy Pape, Jörg StollmannJournal Urban Studiespublished 14 Sep. 2022DOI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0420980221115051Funded by DFG & CRC 1265 Refiguration of Spaces 저자 도미닉 바트만스키, 김선주, 마티나 뢰브, 티모시 파페, 요르그 슈톨만저널명 Urban Studies 게재일 2022. 09. 14DOI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0420980221115051펀딩 DFG, CRC 1265 Refiguration of Spaces Fabrication of space: The design of everyday life in South Korean Songdo abstractConstructed from scratch on land reclaimed from the sea, Songdo was planned to embody new ‘smart city’ life. In reality, it has come to exemplify enclave urbanism that commodifies securitised living for upwardly mobile middle classes. While the political economy of this urban project is by now well studied, the sociological ethnography of the resultant space and its experiential correlates remains less developed and imperfectly contextualised. One needs to connect the dots of power and space. The present paper aims to do that and thematises the ‘design of everyday life’ which rests on (1) the intensification of privatised digital surveillance of mass housing compounds which in turn occasions (2) the remaking of spatial markers and symbolic boundaries between private/public, inclusive/exclusive, inside/outside. As such it is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registers of visibility that gets jointly orchestrated by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of Korean state and corporate actors. In order to recognise these regimes as strategic visions of controlled social life we extend James Scott’s notion of ‘seeing like a state’ to include the corresponding regime that we call ‘seeing like a corporation’. This allows us to show that they are mutually elaborative in Songdo through a hybridised fabrication of its lived environ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one branded housing typology located in the city’s centre called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This elucidates not only the local entrepreneurial urbanism that gave rise to the controlled environment of Songdo but also more general logics of the ‘compressed modernisation’ in the region which sets a global mode for production of space and re-territorialisation of power.

방법으로서의 식물

도시식물 연구 프로젝트 ㅣ Research on Urban Spontaneous Flora 작업 김선주, 정지연년도 2021펀딩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Team: Seonju Kim, Ally JungYear 2021Funded by Arts Council Korea   «방법으로서의 식물»은 건축하는 김선주와 요리하는 정지연이 도시에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다양한 식물들을 살펴 보자는 생각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그동안 무심히 바라봤던 길가의 잡초들의 이름을 배우고, 불러주며, 맛을 보기도 했다. 질경이는 사람이 다니는 길에서 더욱 잘 자라난다는 것, 또 한강변의 골치거리인 환삼덩굴이 우리가 좋아해 마지않는 맥주의 재료인 홉을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렇게 길가에 자라나는 식물들의 다양함에 놀라고, 식물들을 구경하느라 한 시간에 몇 발짝 밖에 옮기지 못하는 느린 식물 산책을 다니는 동안, 많은 질문이 생겨났다.   “식물에게 도시는 어떤 장소일까? 도시를 식물의 장소로도 생각할 수 있을까? 우리와 같은 장소에서 살아가는 도시의 식물은 우리와 어떤 식으로 관계맺을 수 있을까? 키우거나 가꾸지 않아도 무성히 자라는 자생 식물은 도시환경에 어떤 가치가 있지 않을까? 이런 식물들을 먹을 수도 있을까? 이런 식물을 먹을 수 있다면, 우리의 도시와 문화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은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도시에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방법으로서의 식물»은 이런 질문과 고민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기 위한 2021년 한해 동안 공부하고 돌아다니고, 사람들을 만난 흔적이다. 또 워크샵을 통해 이를 시민, 농부, 예술가 등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었다. 도시에서 자라나는 자생 식물들을 보며, 도시가 단지 인공화된 삭막한 장소가 아니라, 우리가 다른 생명체와 함께 공존하고 번성하는 공간임을 알게되었다. 프로젝트를 지원해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 식물과 식문화, 그리고 도시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자문해주신 강병화 교수님, 권태옥 농부님 그리고 김인수 작가님, 프로젝트에 예술적인 성격을 더해주신 이혁 작가님, 그리고 온라인으로 방법으로서의 식물을 응원해주신 분들, 또 워크샵에 참석해 지혜를 나눠주신 분들께 감사를 전한다. 프로젝트 리포트 보기 see project report